![[유해화학물질 안전취급] TMAH의 위험성, 사고사례, 안전취급 가이드](https://image.inblog.dev?url=https%3A%2F%2Finblog.ai%2Fapi%2Fog%3Ftitle%3D%255B%25EC%259C%25A0%25ED%2595%25B4%25ED%2599%2594%25ED%2595%2599%25EB%25AC%25BC%25EC%25A7%2588%2520%25EC%2595%2588%25EC%25A0%2584%25EC%25B7%25A8%25EA%25B8%2589%255D%2520TMAH%25EC%259D%2598%2520%25EC%259C%2584%25ED%2597%2598%25EC%2584%25B1%252C%2520%25EC%2582%25AC%25EA%25B3%25A0%25EC%2582%25AC%25EB%25A1%2580%252C%2520%25EC%2595%2588%25EC%25A0%2584%25EC%25B7%25A8%25EA%25B8%2589%2520%25EA%25B0%2580%25EC%259D%25B4%25EB%2593%259C%26logoUrl%3Dhttps%253A%252F%252Finblog.ai%252Finblog_logo.png%26blogTitle%3D%25EC%2595%2584%25EA%25B8%25B0%25EC%259B%2590%25EC%2588%25AD%25EC%259D%25B4%2520%25ED%2599%2594%25EA%25B4%2580%25EB%25B2%2595&w=2048&q=75)
최근 온산국가산업단지에서 발생한 TMAH 노출 사고를 당한 근로자가 결국 사망하였다는 소식에 TMAH의 위험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
TMAH는 이미 여러건의 사망 사고의 원인이 되었던 물질로 피부에 소량 접촉만으로도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물질입니다.
TMAH 의 특성과 사고사례, 사고예방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.
1. TMAH (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)(CAS # 75-59-2)이란?
- 전자 산업(반도체, 디스플레이 등)의 포토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

2. TMAH 노출 사고 사례
- 2012년 4월: TMAH탱크 세척 후 잔류 TMAH제거 작업 중 작업자 얼굴, 목 노출 -> 병원 후송 후 사망

- 2011년 12월: 세척제 테스트 중 8.75% TMAH노출, 약 17분 경과 후 샤워 및 병원 후송 -> 사망

- 2021년 1월: 배관 해체 작업 중 TMAH노출 -> 2명 사망, 4명 부상

- 2002년 7월: 배관 절단 작업 중 오인으로 TMAH 배관 절단하여 작업자 1명 부상

3. TMAH 는 왜 위험한가?
- 급성독성 경구 및 경피, 피부부식성/자극성, 수생환경 유해성 물질로 분류
- 낮은 농도에서도 위험(2.83% 노출 시 사망사례 有)
- 강염기성 물질로 화학화상을 일으켜 피부에 쉽게 흡수됨
- 흡수된 TMAH는 TMA 이온으로 변해 신경전달을 차단하므로 단기간에 호흡곤란과 심장마비를 일으킴
- 피부 접촉 범위가 넓을수록 화상 및 신경계 손상 발생으로 인한 사망위험성 높음


4. TMAH 안전 취급 수칙
- 작업 상황에 맞는 보호구 착용 필수
- TMAH직접 취급 또는 접촉 위험이 높은 작업(정비, 보수 등) 시 안전보건공단 인증보호구 착용 必
- 내화학 장화 착용
- 화학물질용 안전 장갑
- 전면형 방독마스크,
- 전신 내화학복
- 작업 전 TMAH 잔류여부 확인
- TMAH에 직접 노출될 수 있는 작업 전 반드시 TMAH배출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
- 냄새가 거의 나지 않으므로 각별한 주의 필요
- 2.38% 이하의TMAH는냄새가거의나지않거나 약한 암모니아 냄새가 남
- 피부노출시1~2도화상수준으로 노출을 빠르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음
- 노출 시 즉시 탈의 및 세척
- TMAH는 강염기성 물질로 화학화상을 일으킴
- 피부 흡수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급성 중독물질 피부나 눈에 접촉 시 즉시 옷을 벗고 최대한 빨리 물로 세척해야 생존 가능성 증가

참고자료
-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(TMAH) 취급 가이드북, 안전보건공단, 2021.11
Share article